게시판

동문 문화예술

漢詩이야기(75) .. 벌써 五月, 아! 늙음이여 . . .

페이지 정보

작성자 世 讓 작성일 2016-05-02 06:45 댓글 0건 조회 644회

본문


      아파트 정원 소나무에 송화(松花)가 통통하고 가루가 날린다.  벌써 5월이다.
      당나라 재상(宰相)을 지낸 장구령(張九齡 : 678~740)은 오언고시(五言古詩)에
      능한 시인으로 유명하다.
      그가 거울을 들여다 보다가 흰 머리가 많음을 보고 照鏡見白髮(조경견백발) 
      이라는 제목으로 오언절 한 수를 지었다.  젊은 혈기는 사라지고 무기력한
      늙은이가 되었음을 표현한 詩다.

 
               宿昔靑雲志 [숙석청운지]  옛날 청운의 푸른 뜻이
               蹉跎白髮年 [차타백발년]  시기를 잃고 흰 머리 되었네
               誰知明鏡裏 [수지명경리]  누가 알랴? 밝은 거울속에서
               形影自相憐 [형영자상련]  몸과 그림자가 서로 불쌍타 할 것을.

      이백(李白 : 701~762)이 이와 비슷한 시를 지었다.
       白髮三千丈  緣愁似箇長  不知明鏡裏  何處得秋霜   
         백발삼천장      연수사개장      부지명경리     하처득추상 - 흰 머리카락이 삼천자/
       근심때문에 이렇게 되었네/ 모르겠네, 거울속의 모습/ 어디서 서리를 맞았나? -

     장구령의 시와 이백의 시에서 세번째 줄, 전구(轉句)는 첫글자 『수誰와 부不
     한 글자만 다르니 이백이 장구령의 싯구(詩句)를 표절했을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