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동문 문화예술

漢詩이야기(41) .. 천자문[千字文]이야기 . . .

페이지 정보

작성자 世 讓 작성일 2016-03-07 08:47 댓글 0건 조회 1,031회

본문

     옛날 서당에서 처음 배우는 책이 千字文이다. 천자문을 천번 소리내어 읽으면
     모두 암기한다고 하는데, 지난해 타계하신 14회 최승순(강원대학교교수)선배님은
     천자문중의 글자 하나를 말하면 대략 몇번째 글자라는 정도로 암기했다고 하신다.

     천자문은 중국 삼국시대 종요[鍾繇]가 처음 지었는데  수백년후 양[梁]대 황제의
     지시로 주흥사[周興嗣]가 차운[次韻 : 먼저글의 운에 맞추어 짓는것]했다고 한다.
     千字文의 구성은 양운[陽韻]으로 시작하여 아홉 韻字를 사용한 사언[四言] 장편
     고시[古詩]로서 - 천지[天地], 인륜[人倫], 수신[修身] ... 평천하[平天下], 역대
     왕후장상[王侯將相]등의 이야기를 담았고  마지막으로 언재호야[焉哉乎也]라는
     어조사[語助辭]로 끝을 맺으니  千字文은 하늘天으로 시작, 이끼也로 끝이 난다.

     나와 한시회 모임을 함께하는 춘천의 여류서예가가 김시습[金時習]이 완성하지
     못한 한시[漢詩]를 이어짓기를 하는데 천자문의 글자를 머리글자로 칠언절구를
     짓는 것이니 이 시가 완성되면 일천수[一千首]의 시집이 되는 것이다.
     金時習이 절반을 짓지 못하였으니 앞으로 할 일이 많아 보였다.
     나는 천자문의 마지막 네글자 언재호야[焉哉乎也]를 지어 보태겠다고 했다.  
    
      焉烏不別習千文 [언오불별습천문] 언자 오자 구별도 못하면서 천자문을 익히네
      哉字附尻語助云 [재자부고어조운] 재자는 끝에 붙어 말의 뜻을 돕는다 하고
      乎用歎疑辭仲尾 [호용탄의사중미] 호자는 중간이나 끝에서 감탄,의문에 쓰이니
      也吟畢句心欣欣 [야음필구심흔흔] 이렇게 시짓기를 끝내니 마음이 매우 기쁘다.
         ※ 焉烏不別 - 十年工夫魚魯不別[십년 공부해도 魚자와 魯자를 구별못한다.]
         ※ 焉哉乎也는 모두 어조사[語助辭]로 해석하나 쓰이는 곳은 엄연히 다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