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동문 문화예술

漢詩이야기(82) .. 부처님 오신 날, 게송(偈頌) 한 수 . . .

페이지 정보

작성자 世 讓 작성일 2016-05-13 20:32 댓글 0건 조회 847회

본문


     내일은 불기(佛紀) 2560년, 부처님 오신 날이다.
    내일 아내와 함께 춘천 소양댐 상류  청평사(淸平寺)에 가서 점심공양후 계곡의
    나무 그늘에 자리를 펴고 신록(新綠)에서 뿜어 나오는 기운을 맛보고 와야 겠다.

    중국 당대(唐代),  오대선종(五大禪宗 : 五家宗)중 두번째라는 임제의현선사
    (臨濟義玄禪師; ?~866)의 게송(偈頌 - 부처의 공덕을 찬미하는 노래) 한 首,
          是是非非都不關 [시시비비도불관]  옳다거니 그르다거니 모두 상관말고
          山山水水任自閑 [산산수수임자한]  산은 산 물은 물 그대로 두어라.
          莫問西天安養國 [막문서천안양국]  서방 극락세계 어디냐고 묻지말게
          白雲斷處有靑山 [백운단처유청산]  흰구름 걷히면 그곳이 청산인 것을.
          ◈ 옛 스님들의 오도시(悟道詩)나 게송(偈頌)은 작자미상(作者未詳)이 많음.


    모(某) 종교인(宗敎人)들이 불교(佛敎)를 매우 격렬하게 비판하는 주된 이유가
    깨달으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게송(偈頌)에서도 흰구름이 걷힌 곳,
    그곳이 청산(靑山), 즉 부처의 세계라 하니 아니라고 반대할 사람도 있겠지만
    종교는 각자의 것이고 아무도 정당한 종교활동에 시비를 하여서는 안되는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