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동문 문화예술
漢詩이야기(33) .. 맹호연의 춘효[春曉 : 봄날 새벽] . . .
페이지 정보
작성자 世 讓
작성일 2016-02-22 08:28
댓글 0건
조회 1,661회
본문
오늘은 정월 대보름날이다.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옛날부터 음력 1.2.3월을 봄절기로 하였으니
달력상 봄이 온지도 어언 보름이 되었지만 봄같은 날씨가 아니다.
그래서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이 왔으나 봄같이 않구나]한다.
당나라 맹호연[孟浩然, 689-740]은 왕유[王維]와 더불어 자연시를
즐겨 지어 이 두 시인을 왕맹[王孟]이라 한다.
孟浩然은 젊은 시절 사방을 유람하면서 많은 시를 지었고 불혹의
나이에 이르러 벼슬길에 들어 많은 작품을 남겼다고 한다.
춘효[春曉 : 봄날 새벽]
春眠不覺曉 [춘면불각효] 봄 잠이 새벽을 느끼지 못하니
處處聞啼鳥 [처처문제조] 곳곳에서 새 우는 소리 들리네.
夜來風雨聲 [야래풍우성] 지난밤 비바람 소리 들리니
花落知多少 [화락지다소] 꽃이 얼마나 떨어 졌을가?
▲ 운韻은 상성[上聲] 소운[篠韻]으로 .. 조鳥, 소少
옛날 겨울에는 일이 없으니 긴긴밤을 자다가 밤이 점점 짧아지고
농사일이 시작되니 일찍 일어나야 한다. 그러하니 봄날의 새벽은
언제나 피곤하여 하품속에 일어나는 것이다.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옛날부터 음력 1.2.3월을 봄절기로 하였으니
달력상 봄이 온지도 어언 보름이 되었지만 봄같은 날씨가 아니다.
그래서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이 왔으나 봄같이 않구나]한다.
당나라 맹호연[孟浩然, 689-740]은 왕유[王維]와 더불어 자연시를
즐겨 지어 이 두 시인을 왕맹[王孟]이라 한다.
孟浩然은 젊은 시절 사방을 유람하면서 많은 시를 지었고 불혹의
나이에 이르러 벼슬길에 들어 많은 작품을 남겼다고 한다.
춘효[春曉 : 봄날 새벽]
春眠不覺曉 [춘면불각효] 봄 잠이 새벽을 느끼지 못하니
處處聞啼鳥 [처처문제조] 곳곳에서 새 우는 소리 들리네.
夜來風雨聲 [야래풍우성] 지난밤 비바람 소리 들리니
花落知多少 [화락지다소] 꽃이 얼마나 떨어 졌을가?
▲ 운韻은 상성[上聲] 소운[篠韻]으로 .. 조鳥, 소少
옛날 겨울에는 일이 없으니 긴긴밤을 자다가 밤이 점점 짧아지고
농사일이 시작되니 일찍 일어나야 한다. 그러하니 봄날의 새벽은
언제나 피곤하여 하품속에 일어나는 것이다.
- 이전글우리 동홈 입력시스템에 문제가 있는지요? 16.02.24
- 다음글漢詩이야기(32) .. 유우석의 시 .. 촉나라 유비의 묘 16.02.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