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자유 게시판

수능의 추억

페이지 정보

작성자 조규전 작성일 2017-10-16 14:49 댓글 0건 조회 715회

본문

                               수능의 추억


   수능 점수에 의해서 인생의 성패가 갈린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무진장 많은 나라가 우리가 아닌가 싶다
. 하루 시험에 수험생들의 인생이 좌지우지 되는 그런 무시무시한 과정인 것이다. 대한민국에 사는 모든 사람들이 수능이라는 올가미에 씌어서 허우적거리고 있는 모습이 우리 교육의 자화상이라 보면 크게 틀리지 않을 것이다.

 

   왜 우리는 이렇게 수능에 올인하고 있는가. 학벌지상주의가 만들어낸 대표적인 사례가 아닐까 생각된다. 수능이 우리교육에 이바지한 긍정적인 면도 있겠지만 그 이면 부분도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고 본다. 사람은 많고 대학은 한정되었던 시절에 성적에 따라 한 번 걸러주는 기능도 있었다하지만 그렇지 않아도 대학에서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학생을 선발할 수 있는 잣대는 있었을 것이다.

 

   국가에서 획일적으로 수능이라는 틀을 만들어 교육을 자신들의 손아귀에서 쥐락펴락하고자 하는 생각에서 이 제도를 계속 고집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들어간다. 주지의 사실이지만 이제는 대학 정원보다 대학 입학예정자가 점점 적어지는 시대로 들어가고 있다. 막말로 원서만 내고 등록금만 착실히 낼 수 있는 학생이 유수한 학생으로 자리매김 되는 세상으로 들어가고 있다고 본다. 대학에서 자신들이 만든 입학기준을 가지고 학생들을 뽑아도 큰 문제가 없는 세상으로 들어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언제까지 국가가 대학입시까지 책임지고 거들어 주어야 하는가에 대해서 회의를 느끼지 않을 수 없는 처지에 있는 것이다.

 

   대학에서는 국가에서 모든 자료를 다 제공해 주는바 자신들은 그 자료를 바탕으로 성적순서만 정해서 뽑아주면 되는 식으로 운영된다고 본다. 물론 요즘은 수시라는 입시제도를 통하여 대학 나름대로의 잣대를 가지고 선발은 하지만 그 제도의 근본에는 엄연히 대학수능이 꿰 차고 있는 것도 부정할 수 없다고 본다.

 

   이러다 보니 대학이라는 것이 특성화 되지 못하고 서열화만 되어가는 형국이 되어 버리지 않았나 생각된다. 실제로 일부 특성화 된 대학도 결국은 서열화 대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현실에 합류하는 결과를 초래한 경우도 있었다고 본다. 결국 대학의 경쟁력은 그 대학만이 가지는 고유한 학풍이라던가 특화된 교육방법 등을 통하여 나름대로 입지를 굳혀야 되는데 현실은 성적 줄 세우기에 의한 결과를 바탕으로 서열화된 순서에 의해서 수능 고득점자들이 채워지는 식으로 변질이 되지 않았나 생각된다.

 

   우리나라 대학의 서열화를 만든 장본인들이 바로 교육당국이 아닐까 생각된다. 학생들의 선발권의 근본을 왜 교육당국이 쥐고 있어야 하는가 이 말씀이다. 교육의 최상위 역할을 하는 대학이 나름대로 자신들의 교육철학과 이념을 가지고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조력 정도 해 주어야 하는데 교육당국은 아직도 주역의 역할을 하려고 하는 행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다 보니 중 고등학교의 교육은 오로지 대학입시에 올인하는 방식으로 운영이 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지금도 인문계고등학교에 가보면 칠판과 백묵, 교사가 교과서와 EBS방송프로그램을 가지고 지지고 볶느라고 여념이 없다. 인생에서 뇌의 활동이 가장 왕성한 시기에 군 사회보다 더 엄격한 틀에서 주입식 교육에 푹빠져 있는 것이다. 이렇게 배운 학생들이 대학을 가고 사회에 나간다 했을 때 이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을는지 저의기 의심스럽다는 것이다.

 

   인간의 머리는 라마르크의 용불용설을 빌리지 않는다 하여도 쓰면 쓸수록 더 발달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두뇌의 발달에 가장 좋은 방법이 교육이라는 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실증이 된 제도라 본다. 그렇다면 그 교육의 세부적인 방법에서도 어떤 것이 그래도 좋은 교육방법이라는 것도 가닥이 잡혀가는 것으로 알고 있다. 우리처럼 강제 주입식 교육으로는 무한한 가능성이 있는 아이들의 머리와 생각을 경직되게 만들 수 밖에 없으리라 본다.

 

   궁여지책으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자유학기제라는 틈새의 정책을 하나 펼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시기에 다니는 학생들에게는 일제고사(생활기록부에 점수 기록이 되는 중간이나 기말고사)를 보지 않고 수행평가나 과정평가만 보고 이수를 할 수 있게끔 한 제도이다. 이 시기에 시험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계발시켜보고자 체험학습이나 실험실습 등을 마음껏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다. 문제는 이 시기가 끝나기가 무섭게 대입수능에 올인해야 함으로 그 취지는 한시적으로 그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고 본다.

 

   우리나라의 신생아 출산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아우성이다. 아이를 낳아 잘 키울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는 것을 가임 시기에 있는 남녀들은 다 알고 있는 것이다. 낳아봐야 그 아기가 행복하게 이 세상을 잘 살 수 있지 않다는 것을 너무나 잘 알고 있는 것이다. 괜히 낳아서 부모고생, 자식고생을 동시에 할 필요가 없다고 인식할 것이다. 이런 것을 불식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교육을 통하여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면 모르겠으나 지금 같은 교육의 틀로서 그들의 마음을 돌리기란 어려울 것 같다.

 

   비싼 비용을 들여서 교육이라는 것을 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하면 교육 수요자들이 교육을 받는 순간은 물론 미래까지 매력적인 인생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할 것인가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해야 하리라 본다. 옛날처럼 낳아 놓으면 제 밥그릇은 자기들이 챙긴다는 고리타분한 논리는 통하지 않는다고 본다. 막말로 애쓰게 애를 낳아 고생고생하면서 키워 놓았는데 변변한 직장도 못 가지고 시집장가도 제대로 못간다 했을 시 누가 선뜻 애를 낳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이미 답이 나와 있다고 본다.


   가을의 초입에 들어서면서 벌써부터 노벨상 이야기가 여기저기서 흘러나오고 있다
. 우리처럼 교육열이 강한 나라에서 노벨상이라곤 김대중 전 대통령 한 면밖에 없는데 그 또한 연구의 업적이 아닌 평화의 전도사로서의 역할을 존중받아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 공부는 죽어라 하고 하는데 결과가 지리멸렬하게 나타나는 것은 현재의 교육방법에서 무엇인가 잘못되었다는 준엄한 메시지가 아닐는지 모르겠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