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별마당

기별게시판

37기 감히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바람소리 작성일 2016-12-30 10:15 댓글 0건 조회 465회

본문


2621F74A5864CDEA0157B3

감히 - 겸손과 예절과 올곧은 용기가 묻어나는 언어였다

이 참담한 시대에 적응하지 못한 나의 세대여

너보다 더 오랫동안 살붙이고 살아온 나의 세상이 날이 가고 달이 갈수록 이국땅 어느 곳처럼
낯설어지는 이 모순

망연(茫然)히 그리운 단어 - 감(敢)히




타박네

 

사친요(思親謠) 또는 추모요(追慕謠)로 분류되기도 한다.

 ‘다북(복)녀·따복녀·타박녀·다(따)북네·타복네’ 등 다양하게 불리며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1924년 엄필진(嚴弼鎭)이 지은 『조선동요집(朝鮮童謠集)』에는 ‘다북네·EA71.png북네’라는 이름이 나오며, 1939년 임화(林和)가

지은 『조선민요집(朝鮮民謠集)』에는 ‘타복네’, 1940년 김소운(金素雲)이 지은 『구전동요집(口傳童謠集)』에는

 ‘다북네·타복네·따복녀’가 등장한다.

이 밖에 지방에 따라 ‘따분새’(群山)·‘따분자’(水原)·‘따분다’(加平)·‘터분자’(大德)·‘따옹녀’(三陟)·‘다박머리’(咸安) 등으로

음전(音轉)되어 불리기도 한다.

명칭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엄필진은 「내 어머니 젓맛」(조선동요집)이라는 성천(成川) 지방 동요를 소개하고 나서, 뒤에 “EA71.pngEA71.pngEA71.png북네라 함은

평안북도 지방의 방언으로 머리 다부룩한 소녀를 일으는 말이요.”라고 주(註)를 달아 놓았다.

일본인 다카하시[高橋亨]는 「북선(北鮮)의 민요(民謠)」에서 ‘옥(玉)과 같이 맑은 얼굴의 소녀’라고 해석하였다.

이 밖에 타박녀는 홍경래의 난이 일어났던 1811년(순조 11) 평안도 가산(嘉山)다복동(多福洞)에서 발생하였다는 설도 있고,

심청이 죽은 어머니를 찾는 노래(전주)에서 시작되었다는 설도 있다.

형식은 4·4조를 기조로 하고 있으며 수사(修辭)는 다음과 같이 문답법(問答法)·과장법·반어법을 통하여 금기(禁忌)와 불가능의

세계를 가능의 세계로 승화, 성취시키고 있다. 노래 가사는 다음과 같다.


(문) EA71.pngEA71.png북네야

너울면서 어데가늬

(답) 내어머니 무든곳에

젓먹으로 나는가네

(문) 물깁허셔 못간단다

山놉하셔 못간단다

(답) 물깁흐면 헴처가고

山놉흐면 기어가지

(문) 가지[茄子]줄게 가지마라

문배줄게 가지마라

(답) 가지실타 문배실타

내어머니 젓을내라

(결사) 내어머니 무덤압헤

달낭참외 열넛기로

E1CD.pngEA71.png서 맛을보니

내어머니 젓맛일세 (성천 지방)

이 노래는 4·4조로 이어지는 문답체 동요로, 명령과 부정의 문답식 대화가 계속되다가 결사(結詞)에 가서는 어머니의 무덤을

찾게 된다.

이 작품의 고난과 시련, 성취의 구조는 마치 설화 구조를 닮고 있다 하겠다.


각주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1988)
      • 『구전동요선』(김소운, 박문서관, 1940)
      • 『조선민요집』(임화, 학예사, 1939)
      • 『조선동요집』 전(엄필진, 창문사, 1924)
      • 「다복녀 민요와 상실과 극복의 내면구조」(장정룡, 『민속학논총』, 형설출판사, 1990)
      • 「朝鮮民謠の歌へる母子の愛情」(高橋亨, 『朝鮮』225, 193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