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별마당

기별게시판

36기 [re] 가슴 뭉클한 편지 / 어느아버지의 회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광해군 작성일 2009-07-30 16:54 댓글 0건 조회 357회

본문

몇년전 한번 올렸던 글인데 같은곳에서 일어난 감동적인 글이기에
다시한번 선배님방에 옮깁니다 - 50회 김광회 배상

=================================================================================

어느 날. 소록도에서 목회 활동을 하고있는 K목사 앞에
일흔이 넘어보이는 노인(老人)이 찾아왔다.

"저를 이 섬에서 살게 해 주실 수 없습니까...?"
느닷없는 노인의 요청에 K목사는 당황한 표정(表情)을 지었다.

"아니, 노인장께서는 정상인으로 보이는데...
나환자들과 같이 살다니요, 그게 무슨 말씀이신지...?"

"제발..."

그저 해 보는 소리는아닌 듯
사뭇 진지한 표정으로 이야기하는 노인을 바라보며
K목사는 무언가 모를 감정에 사로잡히게 되었다.

"....저에게는 모두 열명의 子女가 있었지요."

자리를 권하자 노인은,
한숨을 쉬더니 입을 떼기 시작했다.

"그런데 그중의 한 아이가 문둥병에 걸렸습니다."

"....언제 이야기입니까?"

"지금으로부터 40여년 전,그 아이가 열 한 살 때였지요" "......"

"발병사실을 알았을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행동은
그 아이를 다른 가족이나 동네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이었습니다."

"....여기로 왔겠군요"
"그렇습니다."

조금의 뜸을 들이던 노인은 시선을 천장에다 박고
넋두리같은 이야기를 이어 나갔다.
실로 기가막힌 이야기였다.

소록도에 나환자촌이 있다는 말만 듣고
우리 父子가 길을 떠난 건 어느 늦여름이었습니다.

그때만해도 교통이 매우 불편해서
서울을 떠나 소록도까지 오는 여정은 멀고도 힘든 길이었죠.

하루 이틀 사흘...
더운 여름날, 먼지나는 신작로를 걷고 타고 가는 도중에
우린 함께 지쳐 버리고 만 겁니다.

그러다 어느 산 속, 그늘 밑에서 쉬는 중이었는데
나는 문득, 잠에 곯아 떨어진 그 아이를 죽이고 싶었습니다
....바위를 들었지요.

맘에 내키진 않았지만
잠 든 아이를 향해 힘껏 던져 버렸습니다.
그런데 그만 바윗돌이 빗나가고 만 거예요.

이를 악물고 다시 돌을 들었지만
차마 또다시 그런 짓을 할 수는 없었어요.

아이를 깨워 가던 길을 재촉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소록도에 다 왔을 때 일어났습니다.
배를 타러 몰려든 사람들중에 눈썹이 빠지거나
손가락이며 코가 달아난 문둥병 환자를 정면(正面)으로 보게 된 것입니다.

그들을 만나자
아직은 멀쩡한 내 아들을 소록도에 선뜻 맡길 수가 없었습니다.
멈칫거리다가 배를 놓치고 만 나는,
마주 서 있는 아들에게 내 심경을 이야기했지요.
고맙게도 아이가 이해를 하더군요.

"저런 모습으로 살아서 무엇하겠니?

"몹쓸 운명이려니 생각하고
차라리 너하고 나하고 함께 죽는 길을 택하자.'
우리는 나루터를 돌아 아무도 없는 바닷가로 갔습니다.

신발을 벗어두고 물 속으로 들어가는데
어찌나 눈물이 나오던지...
한발 두발 깊은 곳으로 들어가다가
거의 내 가슴높이까지 물이 깊어졌을 때였습니다.

갑자기 아들녀석이 소리를 지르지 않겠어요?
내게는 가슴높이였지만
아들에게는 턱밑까지 차올라
한걸음만 삐끗하면 물에 빠져 죽을 판인데
갑자기 돌아서더니 내 가슴을 떠밀며 악을 써대는 거예요.

문둥이가 된건 난데 왜 아버지까지 죽어야 하느냐는 거지요.
형이나 누나들이 아버지만 믿고 사는 판에
아버지가 돌아가시면 그들은 어떻게 살겠냐는 것이었습니다.

완강한 힘으로 자기 혼자 죽을 테니
아버지는 어서 나가시라고....

떠미는 아들녀석을 보는 순간,
나는 그만 그애를 와락 껴안고 말았습니다.
죽는 것도 쉽지만은 않더군요.

"자식을 내다버린 꼴이었지요...."
노인의 눈에는 힘없는 눈물이 맺혔다.

서울로 돌아와 서로 잊은 채 정신없는 세월을 보냈습니다.

그 아이를 뺀,
아홉명의 아이들이 자라서 대학(大學)을 나오고
결혼을 하고 손자손녀를 낳고…

얼마 전에 큰 아들이
내가 살고있는 시골의 땅을 다 팔아서
올라와 함께 살자더군요.

그래서 그렇게 했지요.

처음 아들네 집은 편했습니다.
주는 대로 받아먹으면 되고 이불펴 주면 드러누워 자면 그만이고.
가끔씩 먼저 죽은 마누라가 생각이 났지만
얼마동안은 참 편했습니다.

그런데 나날이 시간이 지날수록
아이들 눈치가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그 애들은 아무 말도 없는데 말입니다.
어느 날인가는 드디어 큰 아이가 입을 엽디다.

큰아들만 아들이냐고요...
그날로 말없이 짐을 꾸렸죠.
그런데 사정은 그후로도 마찬가지였어요.

둘째, 셋째, 넷째--….

허탈한 심정으로 예전에 살던 시골집에 왔을 때
문득 40년 전에 헤어진 그 아이가 생각나는 겁니다.

열 한 살에 문둥이가 되어 소록도라는 섬에 내다버린 아이.

내손으로 죽이려고까지 했으나, 끝내는 문둥이 마을에 내팽개치고
40년을 잊고 살아왔던 아이,

다른 아홉명의 아이들에게는
온갖 정성을 쏟아 힘겨운 대학까지 마쳐 놓았지만
내다버리듯 까마득하게 잊어버렸던 아이,......

다시 또 먼길을 떠나 그 아이를 찾았을 때.
그 아이는 이미 아이가 아니었습니다.
쉰이 넘은 데다 그동안 겪은 병고로 인해 나보다 더 늙어보이는...

그러나 눈빛만은 예전과 다름없이 투명하고 맑은
내 아들이 울면서 반기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나를 껴안으며 이렇게 말했지요.
아버지를 한 시도 잊은 날이 없습니다

아버지를 다시 만나게 해달라고 40년이나 기도해 왔는데
이제서야 기도의 응답이왔군요

나는 흐르는 눈물을 닦을 여유도 없이 물었죠.
어째서 이 못난 애비를 그렇게 기다렸는가...? 하고

자식이 문둥병에 걸렸다고 무정하게 내다 버린 채
한번도 찾지 않은 애비를 원망하고
저주해도 모자랄텐데 무얼 그리 기다렸느냐고...

그러자 아들은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여기 와서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되었는데
그 이후로 모든 것을 용서하게 되었노라고.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이
비참한 운명까지 감사하게 만들었노라고.

그러면서 그는 다시 한번
자기의 기도가 응답된 것에 감사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때서야 나는 깨닫게 되었습니다.

나의 힘으로 온 정성을 쏟아가꾼 아홉 개의 화초보다,
쓸모없다고 내다버린 하나의 나무가
더 싱싱하고 푸르게 자라고 있었다는 것을 말입니다.

예수 그리스도...
그분이 누구인지 나는 모르지만
내 아들을 변화시킨 분이라면
나 또한 마음을 다해 받아들이겠노라고
난 다짐했습니다.

목사님!
이제 내 아들은 병이 완쾌되어
여기 음성 나환자촌에 살고 있습니다.

그애는 내가 여기와서 함께
살아주기를 간절히 원하고 있습니다.
아버지는 그동안 다른형제들을 위해 40년을보내셨으니,
이제는 자기에게도 효도를 할 기회를 달라는 것이었어요.
이제라도 아버지얼굴 좀 보며 살게해달라고 말입니다...흑흑..
이 못난 애비를, 못난 애비를 말입니다. .......

그애와 며느리,
그리고 그애의 아이들을 보는 순간,
그애의 소망이 결코 거짓이 아니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그들의 눈빛에는 지금껏 내가 구경도 못했던
그 무엇이 들어있었습니다.

공들여 키운 아홉명의 아이들에게선
한번도 발견하지 못한 사랑의 언어라고나 할까요.

나는 그애에게 잃어버린
40년의 세월을 보상해 주어야 합니다.
함께있어주는것만으로 그애에게 도움이 된다면
나는 기꺼이 그의 뜻을 받아줄 생각입니다.

그러니 목사님!

저를 여기에서 살게 해 주십시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